사업성과

제주지역 플라스틱 발생 저감을 위한 다회용 유통 포장재 운영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구분 : 환경정책 연구책임자 : 정지헌 소속 : (주)이담환경기술
연구기간 : 2022. 04. ~ 2022. 12. 연구비 : 40,000,000 연구년도 : 2022
요약문 : 2. 제주지역 플라스틱 발생 저감을 위한 다회용 유통 포장재 운영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요약문.hwp   

1. 연구목적 및 목표

제주 전지역 1회용 배달 용기 다회용 용기 전환을 위한 체계 구축

 

2. 연구 내용 및 결과

[연구내용]

본 연구는 배달 음식 1회용 플라스틱 용기를 다회용 용기로 전환하기 위한 용기규격, 다회용 용기 사용 체계, 전용 배달 앱 개발 필요성 및 기존 배달 앱과의 연계 방안 등을 마련하여 시행 가능한 배달음식 다회용 용기 전환 실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다회용 용기 전환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행·재정적 지원을 위한 제도를 마련하였다.

 

[연구결과]

플라스틱 배달용기 사용 현황 조사결과

일반음식점 1회용 플라스틱 용기 사용 실태조사 결과 한식 2,774/개소·월로 가장사용량이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식이 1,645/개소·월로 두 번째로 사용량이 많을것으로 조사되었다. 1회용 플라스틱 용기 사용량이 많은 한식과 중식의 1회용 플라스틱 용기 품목을 조사한 결과, 한식에서는 소스컵()(618/개소·)과 소스컵()(515/개소·)의 사용량이 가장 많았다

 

일반음식점 사업자 및 시민 1회용품 인식조사 결과

일반음식점 200개소를 대상으로 1회용 플라스틱 용기 사용 및 다회용 용기 사용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다회용 용기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다회용 용기 도입이 힘든 이유로 추가적인 인력운영에 대한 부담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제주시 일반시민 100명을 대상으로 1회용품 사용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1회용품 사용 관련 질문 응답자의 97%1회용품 사용을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회용 용기 사용과 관련한 인식조사에서, 커피전문점,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다회용컵을 권유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률이 높아 1회용품 사용 규제에 대한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회용 유통 포장재 운영 시스템 구축 타당성 조사 및 구축 방안

안정적인 다회용 용기 전환을 위해 1단계(예비시범사업), 2단계(시범사업), 3단계(실증사업)의 단계별 시범사업을 제안하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