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성과

제주 곶자왈의 지역 브랜딩을 통한 제주환경의 지속가능성 강화방안 연구

구분 : 환경정책 연구책임자 : 김범훈 소속 : 곶자왈공유화재단
연구기간 : 2021.04. ~ 11. 연구비 : 30,000,000 연구년도 : 2021년

 

. 연구목적

지역 브랜딩 기법을 각종 위기에 처한 제주 곶자왈 자원의 보전·관리 및 마을의 인문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효율적인 특성화 전략 개발에 처음으로 적용함으로써 화산섬 제주의 용암숲인 곶자왈과 마을의 지역 브랜딩을 통한 청정 제주 환경의 가치 인식 제고 및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함.

. 연구내용 및 결과

연구내용

- 해외 화산지형 생태환경의 지속가능성 강화 프로그램 운영 사례

- 제주 곶자왈의 지역 브랜딩 자원이해를 위해 제주지역 환경생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양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와 SOAR 분석

- 곶자왈과 마을의 지역자원조사와 장소성 분석

- 곶자왈 지역의 장소성 주민협의

- 곶자왈 지역 브랜딩 특성화 방안 도출

- 제주 곶자왈의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환경 브랜딩 거버넌스 체계 구조화 모형 제안 등

연구결과

- 지역 또는 환경 브랜딩의 가치 요소들을 평가하거나 인증하는 기준 설정과 다양한 생태환경 주변 지역의 환경 가치 실현 여부를 조사하는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 교래곶자왈, 수산곶자왈, 저지곶자왈과 이들 곶자왈을 품은 마을에 대한 지역자원조사, 장소성의 핵심 구성요소 분석, 2차에 걸친 마을 주민협의를 통해 곶자왈 지역 브랜딩 특성화 비전과 전략을 설정하고, 현실성 있는 특성화 방안을 도출

- 제주 곶자왈 지역 환경 브랜딩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으로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도민과 방문객, NGO 등 민간단체, 곶자왈공유화재단, 산업계, 연구기관, 중앙정부 등의 거버넌스 구축과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

. 기대성과

곶자왈 지역의 정체성 공유와 이해 당사자들간의 소통체계 구축과 함께 이를 통해 제주형 환경 브랜딩 거버넌스 체계 구조화가 정착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