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94. 6 전국 최초로 지역환경영향평가제를 도입․운용해 오고 있으나,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 및 협의에 있어 준거가 될 모형이 미흡한 실정 - 타 지역(환경부)과 차별화된 지역 특유의 자연자산에 대한 보전방안 강구 등 제주형 환경영향평가 운영실태 조사 및 분야별 구체적인 평가기법의 구축 필요 | |
| |
- 제주 지역을 대상으로 한 환경영향평가서 및 심의․협의사례 분석 ․범 위 : 관련법령(제도 포함), 환경영향평가서, 심의․협의내용 및 사후 환경관리보고서 등 ․내 용 : 자연자산 보전여부, 주요 보완요구사항 등 ․방 법 : SWOT(강점, 약점, 기회, 위협)분석 등 - 국내․외 환경영향평가제도 사례분석 - 사업별 환경영향평가서 검토기준 설정 - 제주 실정에 맞는 환경영향평가기법 제시(자연환경, 생활환경 또는 사회환경분야) | |
| |
- 환경영향평가조례 개정시 반영 및 환경영향평가대행업체에 전파 ․제주도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 환경영향평가기간 단축 및 환경영향평가서의 신뢰성 제고 | |
| |
• 환경영향평가조례 개정시 반영 및 환경영향평가대행업체에 전파 • 제주도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 환경영향평가기간 단축 및 환경영향평가서의 신뢰성 제고 | |
| |
• 환경영향평가조례 개정시 반영 및 환경영향평가대행업체에 전파 • 제주도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 환경영향평가기간 단축 및 환경영향평가서의 신뢰성 제고 |